티스토리 뷰
사회적 기업 소셜 미션 수립하기 -1-
사회적 기업가는 다양한 소셜 이슈에 대해서 혁신적 대안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미래의 상을 설정하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미래의 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 내용을 수익모델과 연결한 것이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대해서 배우게 될 텐데요. 오늘 배우실 내용은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앞서서 사회적 기업가로서 소셜미션을 수립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문제 정의
1단계로 먼저, 주목할 사회문제를 정의해야 됩니다. 사회문제의 정의란, 이 세상의 많은 사회적 이슈와 현상들 중에서, 특별히 사회적 기업가의 주의를 끄는 문제입니다. ‘가치판단과 가치 관련’이 적용된 것으로 사회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사회학적 상상력’ 이 동원됩니다. 하나의 사회 현상을 문제로 정의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왜 문제이며 주목할 만한 것인가에 대해서 설득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과 동기에서 어떤 사회 문제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그 주제가 사회문제라는 것을 정의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전문서적을 읽고 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해서 또 전문가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서 이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객관화된 문제의식을 정립해 나가야 합니다. 앞에서 배웠듯이, 이 과정에서 사회적 기업가는 자신이 주목하고자 하는 사회문제를 개인적인 수준에서의 관심이 아닌, 객관화된 사회문제로서 대내외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기존의 접근 방법 공부
2단계로 사회문제가 정의가 되었다면, 사회적 기업가가 주목하는 사회문제에 대한 기존의 대안들, 기존의 접근 방법들을 찾아보는 일입니다. 특정 사회문제에 대한 기존의 정책과 또 시민사회와 시장 등에서 어떤 노력이 있었고, 또 그것이 왜 실패했는지 혹은 부분적으로 어떻게 성공했는지를 명확히 밝혀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사회적 기업가가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사람들과 소통해야 합니다. 사회적 기업가에게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의미있는 아이디어인지, 과거에 이미 적용되었던 것은 아닌지 등에 대해서 살펴보려면 이전에 시도되었던 다양한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서 사례연구 등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사회적기업은 대개 정부의 정책 실패나 시민운동의 영역에서 다뤄지기 힘든 그런 분야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통한 접근 방법으로 성공하게 되는 경우라고 이야기 제가 했는데요. 그렇다면, 특정 사회문제에 대해서 정부 정책은 어떤 접근을 했고, 어떤 이유에서 실패했는지, 혹은 일정 부분이라도 성공한 부분은 없었는지 그런 것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사회적 기업가 개인이 아무리 문제라고 느끼더라도, 그 부분이 정부 정책의 영역에서 이미 상당 부분 성과를 이룬 부분이거나 개인의 힘으로 행하기 힘든 영역이라면, 이 시점에서 포기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주목하는 사회문제에 대해서, 시민운동 분야에서는 어떤 성과와 한계가 있었는지 살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 기업가는 시민운동의 역사적 성과를 최대한 존중해야 됩니다. 그리고 본인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에 대해서 어떤 겸손함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앞으로 무엇을 더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연구하게 되고 자신의 방법만이 가진 독창성에 대해서도 설득력 있게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적 기업가는 자신이 창출하고자 하는 가치가 보다 명확해집니다.
'사회적 기업 전략, 기업분석, 비즈니스 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패러다임의 변화(사회적기업 관점) (0) | 2022.06.18 |
---|---|
사회적 기업 소셜 미션 수립하기 -2- (0) | 2022.06.18 |
사회적 기업과 소셜 미션의 유형 (0) | 2022.06.18 |
사회적 기업의 좋은 전략 만들기 위한 방법 (0) | 2022.06.18 |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의 4가지 핵심 원리 (0) | 2022.06.17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업 친화형 모델
- 기업 전략
- 사회 문제
- 제4섹터의 출현
- 소셜미션
- 수익창출
- 전략경영
- 사업 기회 탐색
- 사회 혁신 모델
- 사회적 기업
- 비즈니스 모델
- 개량주의
- 규모확대
- 기업 형태
- 인간에 대한 공감
- 질문의 중요성
- 기업 환경
- 기업 성장
- 킥스타트
- 구성 요소
- 사회적기업
- 소셜 펌
- 디자인 접근법
- 외부성
- 사회 기저층
- 기업 패러다임
- 외부 실행 가능 전략
- 경제적인 전략
- 자문
- 애로사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